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뇌공학과 대학교 리스트, 교과 과정, 졸업 후 진로

by Busybusy00 2025. 3. 11.

"We still haven't unlocked the mystery of the three pounds of matter that sits between our ears. We don't yet have a map of the human brain. We don't know how the 100 bilion neurons interact inside a space just a few cubic centimeters."

"우리 귀 사이에 있는 3파운드의 물질에 대한 미스터리를 아직 풀지 못했습니다. 아직 인간 뇌의 지도가 없습니다. 불과 몇 입방 센티미터의 공간 안에서 1,000억 개의 뉴런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모릅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2013 BRAIN Initiative 발표 연설에서 '우리는 아직도 인간의 뇌에서 2.5cm 크기의 공간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조차 모른다.'는 말을 남겼습니다.

인간의 뇌는 엄청나게 복잡한 작동 원리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의 과학기술로는 여전히 그 작동 원리를 완전히 밝혀내지 못했음을 강조했습니다.

이 발언은 뇌공학, 신경과학, AI 연구자들에게 큰 도전 과제를 던진 중요한 메세지로 남아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뇌공학을 다루는 대학교들의 교과 과정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하여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뇌공학과 대학교 리스트

1. KAIST(한국과학기술원): 바이오 및 뇌공학과

2. 한양대학교: 심리뇌과학전공

3. 고려대학교: 뇌공학과

4. 서울대학교: 뇌인지과학과

5. 이화여자대학교: 뇌인지과학전공

 

 

 

 

각 대학별 교과과정

1.  KAIST(한국과학기술원): 바이오 및 뇌공학과: 바이오공학개론, 분자세포생물학, 바이오공학실험, 인체해부생리학, 분자세포생물학, 바이오계측, 바이오데이터구조, 뇌과학의 기본원리, 시스템 생명공학, 바이오정보처리, 바이오신호처리, 생체 역학, 바이오 유체공학, 바이오 전자회로, 바이오운동역학, 계산신경과학, 나노공학, 신경과학실험기법개론, 바이오포토닉스, 의료영상, 인지신경과학, 계측기기설계 등

2. 한양대학교: 알고리즘 및 문제해결기법, 데이터베이스시스템 및 응용, 머신러닝, 인지과학 기초, 인지과학 실험, 계산인지과학, 인지행동모델링, 인간컴퓨터상호작용, 인공지능베이지안이론, 강화학습이론 및 응용, 뉴로이미징, 딥러닝 및 응용, 지능형 생물정보학 등

3. 고려대학교: 뇌영상공학, 인지뇌과학, 뇌-컴퓨터인터페이스, 신경과학, 뇌신호처리, 뇌공학을 위한 확률통계학, 두뇌의 이해, 신경과학, 신경망, 뇌파분석, 뇌공학프로그래밍, 컴퓨터적 사고, 신경심리학, 딥러닝이론, 시지각, 인지과학의 행태 분석학적 기법, 생체회로분석, 의료지능기계학습, 기억 및 인지특론, 인지로봇특론, 신경재활공학특론, 통계학습특론 등

4. 서울대학교: 뇌인지과학의 원리, 뇌인지과학의 방법, 시스템 신경과학, 임상신경과학,  세포의 구조와 기능, 분자 및 세포 신경생물학, 고급 신경생리학, 정신질환의 연구, 해마 기억신경계의 구조 및 기능 이해, 확률적 두뇌의 이해, 학습과 기억 고전 뇌인지 논문 이해, 인지발달신경과학, 지각과 의사결정의 신경과학, 인지신경회로, 알츠하이머병과 관련 질환 연구, 시각의 뇌인지과학, 의식의 뇌인지과학, 계산신경과학, 뇌의 학습과 기억, 뇌정보처리개론, 신경언어학 등

5. 이화여자대학교: 뇌인지과학기초, 신경과학원리, 뇌인지과학응용, 기능적신경해부학, 신경생물학, 인지과학, 뇌인지과학실험실습, 뇌인지과학연구기법, 법정뇌인지과학, 여성의 뇌, 신경유전학, 일반생물학, 학습과 기억, 이상심리학, 산업 및 조직 심리학, 판단과 결정 심리학, 뇌영상학, 인공지능, 소비자행동분석, 실험심리학, 신경윤리학 등

 

졸업 후 진로 

뇌공학과 졸업 후 진로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뇌의학 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하여 병원, 임상의학 연구실, 다국적 제약회사 등에 입사하는 루트가 있습니다.

또는 공학 분야에 조금 더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면, 기업체에 입사하여 뇌와 관련된 제품을 개발할 수도 있습니다.

혹은 심리학 분야에 초점을 맞추자면, 임상심리사가 되어 병원 근무 혹은 개업을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이상입니다.